
보건행정학의 리더로서 학문적 기여
- 보건행정학의 이론정립 및 방향 제시
- 보건행정학의 분야 및 교과목 개발
- 인공지능, 빅데이터 등 다양한 학문분야와의 접목
공공부문 보건행정학의 전문적 양성
- 공무원 사관학교와 연계한 보건직 및 복지직 공무원의 집중양성
- 국공립병원과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인재 양성
- 보건의료 및 복지 관련 연구기관에 필요한 보건행정 전문가 양성
보건행정학 관련 산업의 육성
- 외국기관의 교류를 통한 보건행정의 세계화
- 한국형 보건행정의 보급과 외국인 유치에 기여
- 보건 및 복지와 연계한 의료복지산업 조성
새로운 보건행정학의 지평 개척
- 21세기 공공부문 중심의 보건의료 및 복지 정책 개발
-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노인의료복지의 실현
- 임상현장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의료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개발